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트랜드정보/온골요법

[문운석의온골요법] 한자 속에 숨어있는 선조들의 건강비결 "몸과 관련된 한자 속에서 뼈를 따뜻하게 하는 건강비법"

by 시너지메이커9 2018. 10. 19.
반응형


[문운석의온골요법]
고유의 한자 속에 숨어있는 선조들의 건강비결 
"몸과 관련된 한자 속에서 뼈를 따뜻하게 하는 건강비법"

우리는 몸을 따뜻하게 해야 한다는 것만 알고 있었습니다. 
누구도 뼈를 따뜻하게 해야 한다는 말은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한자를 살펴보면 뼈를 따뜻하게 하라는 뜻과 건강의 의미를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먼저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뼈를 뜻하는 뼈 골(骨)자입니다. 이 글자는 어두운 달밤에 덮어놓고 또 덮어놓은 모양입니다. 
그리고 달 월(月)자도 고기 육(肉)의 약자로 감추어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뼈는 그저 우리 몸의 철근이라고만 생각합니다. 그래서 나이 드신 분들의 엉덩이 밑 부분이 
검게 변하는 이유도 알 수가 없었습니다. 이런 현상도 뼈 골(骨)자에 비밀이 들어있습니다.

두 번째는 사람의 생명을 유지하는 피 혈(血)자입니다. 이 글자 속에는 그물 망(網)자가 있습니다. 이는 뼛속이 그물처럼 생겼음을 암시합니다. 또 그릇 명(皿)자가 들어있는데 이것이 우리 몸을 뜻합니다. 뼈에서 피가 만들어진다는 사실, 또 피가 가야 뼈가 자란다는 사실이 이 글자 속에 감춰져 있습니다.

세 번째로 소금 염(鹽)자를 보겠습니다. 이 글자 안에는 신하 신(臣)자, 소금 노(滷), 그릇 명(皿)이라는 세 글자가 들어있습니다. 그릇 명(皿)은 우리 몸을 뜻합니다. 결국 소금 염(鹽)은 인체의 최고 충신은 몸을 짜게 하는 것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싱겁게 먹는 것이 건강에 좋다고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더 자세히 생각을 해보아야 합니다. 

네 번째로는 불화 염(炎)입니다. 이 글자는 몸에 생기는 염증을 뜻합니다. 글자를 살펴보면 불 화(火)자가 위아래로 있습니다. 인체의 상체와 하체에 있는 열을 보여줍니다. 몸이 위아래 모두 따뜻한 사람들은 건강하고 활력이 넘치는 사람인데요.  

사람의 몸이 40도까지 열이 올라갈 때, 즉 두 번째 열이 동반될 때는 우리 몸에 염증이 생긴 경우입니다. 감기에 걸렸을 때, 관절염 등 염증이 있을 때입니다. 불화 염(炎)자에는 건강해지는 방법, 그리고 건강을 되찾기 힘든 이유, 두 가지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다섯 번째 따뜻할 온(溫)입니다. 이 글자는 물 수(水) 변에 죄수 수(囚), 그리고 그릇 명(皿)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그릇 명(皿)자는 사람의 몸을 뜻합니다. 사람의 몸 중 사방으로 막힌 것은 뼈뿐입니다. 즉, 따뜻할 온(溫)은 바로 몸이 아니라 뼈를 따뜻하게 하라는 뜻을 품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몸을 따뜻하게 해야 한다는 것만 알고 있었습니다. 누구도 뼈를 따뜻하게 해야 한다는 말은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한자를 살펴보면 뼈를 따뜻하게 하라는 뜻과 건강의 의미를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한자 속에서 건강의 비결을 엿볼 수 있습니다.

한자 속 건강비결과 일반 건강상식의 차이점

우리 몸 중 어디에서 피가 만들어지는지 아는 사람이 없습니다. 피가 마지막으로 만들어지는 곳이 어디인지는 더더욱 모릅니다. 뼈 골(骨)자 하나만 보아도 피와 뼈의 관계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뼛속에 대해 잘 모르고 있습니다. 뼛속에 기름이 굳어있다는 사실조차 모릅니다.  
피 혈(血)자가 의미하듯, 뼛속이 그물처럼 생겼음을 아는 분도 거의 없습니다. 소금 염(鹽)자를 보면 몸을 짜게 하는 게 최고의 충신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싱겁게 먹는 것이 좋다고만 할 뿐입니다. 정작 싱겁게 먹는 사람들이 건강하지 못하고, 짜게 먹는 사람들이 활력이 넘치는데도 말입니다. 

불화 염(炎)자는 건강을 지켜주는 열에 대한 설명을 해줍니다. 몸의 상하체가 모두 따뜻해야 한다는 뜻인데요. 인체는 노화가 진행될수록 하체가 차가워져 간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따뜻할 온(溫)자는 뼈를 따뜻하게 해야 한다는 사실을 말해줍니다. 우리는 몸만 따뜻하게 했을 뿐, 뼈를 따뜻하게 하라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이렇듯 한자 속 건강비결과 일반 건강상식에는 차이가 많습니다. 한자가 보여주는 건강비결에 대해 한 번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반응형